사업에 대한 고정관념 타파!
- 사업 반드시 해야한다
-사업이 직장생활보다 안정적인 이유
**콘텐츠 사업의 방
작게 시작하고 빨리 망해볼것
공짜로는 일하지마라
*느린 실행력 - 피하라
결국은 실력은 필수이다 - '나는 딴 건 모르겠지만 이거 하나는 잘해'
*1등에게 배우자 – 배운 것을 그대로 카피해서 배포하는게 아니라 거기에 자신만의 개성을 덧붙이기
*사업시도하기 1개월을 3개월처럼 쓰면서 1년에 약 10개 정도 사업을 시도했다고 함
*교육사업의 방
- 장점: 수강생을 가르치면서 계속 배울 수 있음. 현금흐름이 좋음.
- 단점: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하고 경쟁자와 차별성과 탁월함이 필요함
-시작하는 법: 인정받기까지 깊게 파야함. ‘권위’를 얻어야함
*콘텐츠 제작능력 – 현금흐름이 빠르지 않아서 부업으로 시작한 뒤 확장해야함
어떻게 돈을 벌까?보다 어떻게 해야 넉넉한 대가를 받을 만한 것을 제공할 수 있을까?
è 무엇을 더 줄 수잇을까?
잘하는 사람보다 믿을 만한 사람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인간은 이익보다는 손실회피 전략이 큼)
1인 기업 내지 소규모 회사를 운영한다면 박리다매보다 고급화 전략을 목표로 삼는게 좋음
*** 팔지말고 도와주라
처음 고객을 대할 때는 무언가를 팔려는 의도가 전혀 없는 것처럼 하는 게 좋습니다. 신뢰가 가장 중요함
*획득비용-초기 사업자들이 자주 하는 실수가 바로, 오직 신규 고객을 늘리는 데에만 집중한다는 것입니다.
*딱 2년 선배나 매출이 3배 정도 높은 사업을 운영중인 선배를 찾기
*유능한 사업가가 되기 위한 인풋과 아웃풋의 비율은 1:9 - 과도한 인풋으로 종종 뇌가 무거워지는 느낌을 피하기/ 유용한 정보를 적당히 습득하는 절제력이 필요함
'FIRE > 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후기: 알면서도 알지못하는 것들 (1) | 2023.08.21 |
---|---|
천원을 경영하라, 박정부 - 다이소 창업이야기 (0) | 2023.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