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와 돌범에 대한 허기를 채워야 돈을 벌 수 있다 .
-> 돈이 없어서 결혼할 수 없어가 아니라 돈을 벌기위해 결혼한다?! 나는 사실 크게 동의한다. 돈을 벌고 싶다면 정서적 안정을 먼저 챙겨야한다
그냥 성실하고 착하게 사는 게 성공으로 가는 정도다.
30대를 잘 활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음.
(열정은 봄날 눈 녹듯이 사라진다)
암시적 지식의 배움
앵무새전략
외신을 보기 - 전체를 볼줄알아야한다(부분을 통해 전체를, 전체를 통해 부분을)
자본이익률은 역사적으로 4%이하로 떨어진적이없다 - 금리와 연동된 예적금에 목메면 안되는 절대이이인듯하다.
생각기계를 바꿔야함
개인의 노력, 의지가 다가 아니다. 행복한 가정에서 태어난 것도 복뿐아니라 능력이 된다.
돈은 다리미 역할을 한다…
가치투자만? 노
결국에 타이밍도 중요하다.
시장에 피가 흥건할때 매수하기
주식을 할거라면 니치마켓을찾기 - 게임분야만 파는 선배가 주식으로 크게 성공한 걸 보았다. 동의함
부채 디플레이션 - 모두가 빚을 갚으려하면 자산이 쪼그라든다.
투자하기 가장 유리한 시간과 장소를 찾아라.
큰 그림에서 하락장인지 상승장인지 알아야함
그런 다음에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돈을 찍어내는 달러보다 더 빠르게 가치가 떨어지는게 원화라니 놀랍다 -> 현금의 반은 달러를 보유해야하지않나싶다.
리만때도, 4년간의 장기침채때도 하락율이 14~18프로였다는게 놀랍다.
2023년 초에 날카롭게 떨어지는 칼날을 잡았어야했음. 서울 6억대 아파트. 하지만 지방에 돈이 묶여있었음…
서울집값 장기 보합하면서 인플레로인한 실질적 하락, 전세가만 오른다고 생각했는데
과거보다 수도권 집중이 강하니까 서울집값의 힘이 더 쎄진걸까?
고금리로인해 연착륙인건가? 노랜딩인건가?
경착륙이 왜 오지않는지…
PF 언제 터짐?
재개발 - 재건축보다 돈이 적게 듦
금리가 오르면 사업성이 더 악화됨
금리 영향 많이 받ㅇ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