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선대인 미친부동산을 말하다

by 마두부 2024. 11. 5.

이 책을 통해 하락장에서 정부는 어떤 대책을 펴서 대응하고, 전문가들은 어떤 논리로 대세 하락장을 정당화하고, 또 그당시 심리도 알 수 있게된 점이 가장 유익하였다.

 

12장에서 10년후 주택시장에서

전세가 사라지고 월세가 증가하고, 더이상 부동산은 투자가 아니라 사용중심으로. 입지보다 신축, 구축이냐가 가격을 결정, 아파트 시대가 저물로 다유형 소량생산 시대로, 선분양제 사라진다 등 10가지 예측중에 1,2가지 빼고 다 틀렸다...

이중 맞은 것은 중대형 수요가 급격히 준다는 것뿐?

이 책이 틀린 이유 

생산가능인구, 주택수요 인구가 급속히 줄기 때문에 주택이 남아돌거라는 논리 - 사람이 은퇴를 해도 거주할 집이 필요하다. 특히나 노인들은 병원때문에 도시, 수도권, 서울에 머물고 싶어한다. 

 

하락장때 정부가 어떻게 대처하는 지 알 수 있었음: 취등록세 감면, 의무 착공기간 연장(2년 -> 3년) , 주택 가입연령 60세에서 50세로 대폭 낮춤, 전세수요를 매매 수요로 유도 , 다주택자 등 양도세 중과 폐지, 분양가 상한제 신축 운영, 수직 증축 리모델링 허용, 장기 고정금리 분할 상환방식, LTV 최대 85%까지. 수익공유형 모기지, 전세형 아파트 (분양가 할인은 물론, 중도금 이자 면제, 잔금 납부 1년 유예, 관리비 대납 등). 심지어 홈쇼핑에 전세형 아파트가 등장

 

*LTV, 전세가율에 너무.... 전세가율 60%만 되어도 깡통전세 운운 위험하다고 하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