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낀점: 요즘은 유튜브에서 워낙 일타강사처럼 잘 설명해주는 사람들이 많아서
굳이 이런 어려운 책을 읽지않아도 너무나 쉽게 설명해주는 사람들이 많아 (오건영 최고)
그래서 대부분 아는 내용이라 발췌독으로만 읽음.
<경기흐름으로 보는 한국경제사>
노무현 정부: 단기간 불어난 가계부채와 내수 불황에 대응해야했음. 저금리 정책을 중단함.
이명박 정부: 집권 첫해 글로벌 경제위기. 2009년 성장률은 0.8%, 유럽 국가부채위기. 대기업 편향 정책을 쓴 탓에 내수 불황이 더 심해짐.
박근혜정부: 내수와 수출모두 부진하였음. 경기부양책으로 견설경기 활성화시킴 -> 자산 격차 커짐, 가계 빚 증가
2017~21201년: 최저임금이 16프로, 10프로 씩 큰폭으로 오름. 부작용생기자 2020년에는 인상률 급강하…평균
60페이지 - 불황이데도 재고가 줄어든다고? 수요감축, 재고증가를 미리 예상해서 생산을 ㅣ미 줄였을때
131페이지: 유가가 내려도 문제인 이유는? 2014년, 2020년 유가가 폭락한 적이 있음
유가가 내려가면 산유국에서 수입하는 수입품의 물가도 올라감 .
감산하는 이유 - 치킨게임.주도권잡기 위해서
151페이지
인플레이션은 왜 서민에게 적, 부자에게 기회인가
부자에게 인플레이션이 재테크 기회를 준다.
서민 가계 - 현금수입의 구매력이 떨어짐. (부동산 - 현금가치도 지켜주면서 시세 차익까지 챙겨줌)
돈 가치를 떨어뜨리는 인플레이션ㄴ이 재테크 호기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은 아이러니인데, 이런 이치를 모르는 사람은 적다.
154페이지
인플레이션 뒤끝을 조심해야하는 이유는?
159, 161
인플레이션에는 수요 인플레와 비용 인플레가 있구나
-수요인플레이션은 통화정책이나 재정정책 등으로 막아볼 수 있지만, 비용 인플레이션은 마땅한 대응책이 별로 없음.
309페이지
돈값은 몸놀림이 자유로워야 싸다? - 유동성 프리미엄. 예금 1년만기 vs 3년만기
345페이지
장외시장은 어디?
359페이지: 경기 나쁜데 주가 뛸때는 어떤 때? 금리가 낮아서 유동성 장세일때
368페이지: 핫머니가 뭐임?
391페이지: 이표채, 복리채, 할인채
이표채: 보토 3개월단위로 이자를 일정기간 마다 나누어 지급하는 것. 이표 = 이자표(채권자가 이자를 받을 때마다 이표를 떼어 발행자에게 돌려주는 것)
복리채: 이자를 원금에 더해 복리로 재투자한 뒤 만기때 원금과 같이 지급하는 것.
할인채: 할인가격에 사서 만기까지 보유하면 액면가를 돌려받음
589페이지: 기업경기실사지수 BSI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