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이트/부동산과 재테크 서적 리뷰

부동산 트렌드2023/김경민

by 마두부 2023. 5. 10.

<과거 시장복기>

2006년~2017년까지는 서울, 인천, 경기도의 상승과 하락시점이 모두 비슷했음

2006~2008년 중순: 폭등

2008~2009: 변동성

2010~2013년: 지속적인 하락

2008년~2013년: 글로벌 금융위기 하락장

서울 대세상승 시작 : 2017년 7월

인천과 경기 대세상승 시작: 2020년 2월

 

저자의 주장: 유동성이 사라지는 경우, 경기도와 인천 지역의 가격은 코로나 전인 2020년 2월 가격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있다(2017년 가격과 비슷한 수준일 수도?!)

**부울경**

부산: 2017년 3분기~2019년 8월 가격하락, 이후는 서울처럼 지속적으로 하락, 15개월간 12%하락

울산: 2013~2016년3월까지 상승 후, 2019년 3분기까지 하락. 3년반동안 무려 22%하락함

 

***

노원구 -> 성북구 -> 도봉구 순으로 폭등이 시작함. 노원구가 아무리 구축이여도 노도성 아파트시장에서 시장을 이끄는 역할을 함

노원구는 노후아파트가 많아서 재건축 이슈를 가지고 있음. 기대감 때문에 상승률은 가장 높고 하락률이 상대적으로 낮다

 

**

도곡렉슬이 주는 인사이트

**도곡렉슬

2006년 2월에 11억이였던 아파트/ 10월에 15억 찍음. 8개월 만에 4억이 오름(36%상승)

그런데 2007년~2008년까지 지속적으로 하락 2년간 27%하락함

2008년 9억4천 신저가 거래찍음

-> 부동산 시장에는 사이클이 있으며, 고가 주택의 변동선이 더 크다!!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주택 가격 끌어내리는 효과: 1) 가계에서 물가상승률만큼 임금이 오르지 않는 경우, 개인의 실질 소득이 감소해서. 부동산에 투자할 여력이 과거보다 줄게됨. 줄어든 수요는 가격 하락을 이끔.2)기준금리 인상 -> 주담대 금리상승

인플레이션 -> 공사비 증가 -> 신축건물가 인상 -> 기존 건물도 그에 맞춰 상승/ 공급 부족 -> 물량저하

인플레이션이 크게 오면 부동산은 다양한 투자상품 중 가장 강력한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이 된다

 

*국고채 10년물 금리 - 부동산 시장에 중요함. 

**190페이지: 투자자라면 연평균 25%이상 상승했던 시장에서 25%하락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한다 -> 폭등뒤에 폭락ㅇ이 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2018년 상반기~2019년 3분기 가격이면 매수를 고민할 수 있는 가격대이다!!

 

뒷부분은 상가이야기라 패스!

 

총평: 돈주고 사기는 아까운책....저자의 논리구조를 잘 모르겠다.... 걍 도서관에서 빌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