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부동산 투자11 리뷰: 서울아파트 황금지도(탑곰) 추천해주는 아파트, 왜 여기지? 이해가 안감 추천해주는 아파트 1/3은 세대수가 300세대 미만인거같은데, 강남 등 S급지면 모를까 서울에서 중간이나 하위권에 속하는 곳을 세대수 적은 아파트를 추천해주다니 의문이다. 물론 입지대비 저렴해서 라고는 하지만, 특히나 하락장인 요즘 환금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하락장에서는 세대수가 밀리면 훨씬 더 싸게 팔려야 겨우 팔릴거 같다 해당시기 입지대비 가격이 저렴해서 아파트를 추천해주었다고해도, 이 글을 읽는 시점에도 그 가격일리는 없다. 그래서 지금 읽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지 매우 의문임. 추천 별점: 1/5 - 그냥 도서관에서 빌려보세요~ 2023. 7. 25. 신성철님 -순환론자 https://www.youtube.com/watch?v=o82p1cWCwyc&t=2977s 요약: 순환론이기 때문에, 상승이 있으면 공급이 많아져서 하방압력이 오는데 서울, 수도권 도심재생으로 방향을 잡으면서 택지개발을 안함 그래서 공급이 바로 안되서 상승이 꺼지지않음 *** https://www.youtube.com/watch?v=Pr0vf0Pa14g 시장은 복잡계이지만, 그걸 설명하는 것은 단순 (규칙은 단순) 공급보다 수요가 많을때는 시차가 있을 뿐이지, 결국 가격이 상승한다 공급이 많아도 가격이 오르는 것 - 유동성장 - 하지만 이것은 일시적인 것. 실수요지수를 통해 2013년 반등장을 알아챔 수익률 = 전세가율*전환율 전환율은 거의 움직이지 않음. 반면 전세가율은 진폭이 있음 2013년도 상반.. 2023. 7. 23. 투자선배 신성철님 조언: 부동산 투자 리스크의 비밀 요약: 왜 부동산고수라고 하는 사람들중에 10년 넘는 사람이 없을까? 돈을 아무리 많이 벌고, 수익률잉 높아도 끝에 하락10%막고 강제 게임종료된 사람들 많음 (이 사람들 정말 열심히 했고 똑똑한 사람이였음;;;;) 자기자본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채수가 많아질수록 하락장에 취약해짐 부동산에서는 수익보다 살아남는게 중요하다 돈을 벌었을때 털고 나와야함. (도박처럼 계속 하면 안됨) 적절한 시기에 수익을 실현해야함 남들과 경쟁할 필요없음. 충분히 수익을 올렸으면 리스크대비를 해야지 더 고수익률 싸움을 할 필요가 없음 시장은 고독한 곳임. 함께 몰려다니면 함께 죽을뿐. 멘토 이런거 없음. 앞으로는 구도심 재생, 소액투자 장으로 갈건데 그때 수익률 경쟁하면 안됨 출처: https://blog.naver.co.. 2023. 7. 23. 강추: 풍백님 인터뷰_부동산 업자들에게 놀아나지않기 부동산 투자자들도 거시환경에 민감해야한다(금리 등) 빨리빨리 움직이지않아도, 차근차근 해도 된다. 빨리 움직이려고 정부는 어차피 1주택자는 못건드린다. 1주택자는 실거주, 서민이기 때문에 풀어줄 명분이 있음(정치는 명분이다) 다주택자 포지션 - 정부에서 시그널을 줄때. 투기지역 - 여기가 오를거니까 미리 지정합니다. 그때는 투기지역으로 갈아타기하기 사기꾼 조심하기: https://www.yna.co.kr/view/MYH20190720001400038 2023. 7. 23. 월부라이브 23.06.08 요약 *깡통전세 - 이 집을 팔아도 전세를 못내 줌 *역전세 - 매매가격이랑 상관없음. 전세가 예전 계약했던거보다 낮아짐 기자예시 반포자이 국평 전세 (22년 4월) 22억 -> (현재) 전세 13억. 래미안 원베일리 올 하반기 입주임. 매매가가 전세가 밑으로 떨어진 단지가 많아지면서 작년 10월이후 꺽임 전세가격이 싼 집에 거주해야 향후 내집마련 준비에도 유리하다. 네이버부동산에 명시된 전세가격을 믿지 말자. 반드시 부동산에 실제 전세가격을 확인하자. 반포자이 입주때도 13억 전세였음. 지금 전세가가 2016년 전세가랑 별 차이 없음 반포 원베일리가 30억 밑으로 가면 싸다고 생각하심. (너나위님의 기준) - 강남 등 집들 아직 비쌈 시흥 - 10억찍었다가 5억찍은데 있음. 그동네에서 가장 좋은 아파트임. .. 2023. 6. 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