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RE/부동산 투자11

트루카피님 칼럼 요약/ 벤마 투자자는 원래 혼자이고 외로운 존재임 정보 확산이 빨리됨. 그만큼 공포도 무서운 속도로 확산됨 무리의 순기능보다는 역기능이 커질때는 혼자 사고하고 결정하기 https://blog.naver.com/audi72/222909291732 숨겨진 질서와 매도 타이밍에 대한 생각 2009년 1월 구정 연휴 직후의 며칠을 저는 수화기를 잡고 보내고 있었습니다.당시 들고 있던 현금으로낙폭... blog.naver.com 벤치마킹 서울 평균거래량 6500~7000 반등은 거래량이 다시 느는 것에서 시작됨 https://blog.naver.com/audi72/222992411493 반등 기대가 현실화되고 있는 시장 -짧고 날카롭게 하락하는 것은 조정장 -초반에는 천천히 흘러내리다, 후반에 팍 떨어뜨리는 것이 하락장 미... 2023. 9. 21.
책 리뷰: 보수적인 투자자는 마음이 편하다_필립 피셔 64페이지: 세가지 영역에서 평균 수준, 혹은 약간 낮은 점수를 받은 기업으로서, 펀더멘털은 그리 매력적이지 않지만, 증권가에서는 이보다 더 낮거나 그 정도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는 주식이다 (중략) -> 필립 피셔는 이런 주식이 '투기의 대상'으로는 괜찮지만, 신중한 투자자에게는 적당하지 않다고 말함. 왜냐하면 요즘 처럼 변화의 속도가 빠른 세상에서는 이런 주식에 심각한 타격을 안겨줄 위험 요인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 지방 50만이하 구축에 투자한 경우(특히나 성장 가능성이 없는 도시), 1억미만 물건, 하급지의 신축 등이 아무리 펀더멘털 대비 가격이 저렴해도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사지 말하야 하는게 아니였을까? 총평: 이런 고전이 부동산책에는 없는 게 아쉽긴하다. 부동산에 어떻게 적용해야할지.. 2023. 7. 30.
금리와 부동산 방송날짜: 2021년 10월 6일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uC7BLAl-kOI 금리: 향후를 알 수없지만, 그렇지만 대처해야함 금리의 진폭과 상관없는 투자를 하는게 가장 좋음. 금리가 부동산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야함 금리 - 어느정도 수치를 넘는순간 부동산에 영향미침 *시장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음 실수요장 - 임대수익형 매수장 (비용 수익인데 매가가 계속 상승. 계속 올라갈거라는 기대수익이 커져서 적자가 발생하는데도(비용이 커서) 매수함. 이자율 < 수익율이면 사업 지속가능함 (.. 2023. 7. 27.
신성철님_저금리와 금리변동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kFSJwjqYWR0 방송날짜: 2020.8.25 투자형태에 의해서 나오는 리스크 시장 자체의 리스크 현재 시장에서 큰 리스크 - 금리임 부동산 시장은 주식보다 훨씬 단순함. 통계청에서 '외지인 매수'늘어난 곳 (부동산 팀이 작업한곳) 대부분 2달이면 끝남 서울은 너무 크니까 외지인 매수 통계의미없는듯 과잉유동성이 현재 전세자금 대출로 들어옴 박근혜정부는 전세자금대출을 부동산 정책으로 봄/ 현재 문재인정부는 전세자금 대출을 복지정책으로 봄 갭투자가 상승장 후반 지나면 없어짐. 2008년도(하락장 시작할 때) 수도권 전세가율이 40%였음. (강남이 전세가율 40%가 아님. 평균이 40%였음)그래서 갭투자가 안되었음 지금은 전세가율 수도권 60.. 2023. 7. 27.
신성철_적정물량 개념과 샤워실의 바보, 구미 확장단지 요약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h1QGV9WkQXA 방송일: 2020.04.29 지방을 직접 가면, 직접 가서만 알 수 있는게 있음. 생활권을 알 수 있음 적정물량은 환상에 불가함. 맞추기 어려움 시장이 차가울때는 엄청 뜨거워야 적정으로 느낌/ 시장이 뜨거울때는 굉장히 차가워야 적정으로 느낌 현재 물량 부족상태에서 적정이 되려면 굉장히 많은 공급량이 나와야함. 따라서 적정물량은 환상속에만 있는것임. 먼미래 적정물량으로 공급하면 적절한데, 먼미래에 초점을 두면 시장이 과다공급으로 느낌. (하락장 됨). 수치가 딱 떨어진게 있지는 않음 인구에서 몇을 곱하면 적정공급이 나온다 - 이거는 현실에서 실제 작용하지않음. 수도권 빼고는 주택보급율이 100%미만이여서, 사실은 가구수대.. 2023.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