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108

강남에 집사고 싶어요 #왜 강남에 집을 사야할까? 총평: 강남은 현재 모두가 가고싶어하는 곳이다.(직주근접, 학군이 가장 큰 프리미엄인곳) 대한민국 최상위입지인곳이다. 그리고 강남은 계속 변하고 있다. 반포와 삼성동이 급 부상하고 있다 저자는 산본신도시의 신축을 뒤로하고 입지를 선택하였고, 부동산 하락기에 나름 소액으로 강남 자산을 늘려간 것 같다. 그리고 양극화가 더해지면서, 강남은 점점 외부에서 들어오지못하게 자신의 철옹성을 쌓고 있는 것같다. 저자가 말하듯이 소액투자와 똘똘한 한채를 병행하면서, 강남의 진입을 노려야겠다 #똘똘한 한채 vs 소액투자 여러 채 혹자는 똘똘한 한채가 더 큰 수익을 올렸다고도 하고, 다른 사람은 소액투자 여러개를 시스템처럼 돌려야한다고도 말한다 저자는 각 투자방법이 수익률이나 하락장 대처능력면.. 2023. 4. 16.
나심탈레브: 행운에 속지마라 총평: 많은 것들에서 운의 영향을 매우 크다. 그리고 사람들은 그 운을 대부분 과소평가한다. 장기적으로 수익을 내기위해서는 운이 적은 영역 (치과의사와 같은 일)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됨. 결국 실력이 있으면서 리스크가 작은 일 일 것이다. #인간의 편향 -후견지명 편향 (사후확신 편향) -자만: 투자에 있어서 나는 남들보다 똑똑하지 않음을 인정하고 투자하면 망하지 않는 선택을 할 확률이 높아진다 -언론은 위험하다. 휩쓸리지않고 냉정히 팩트를 볼 것. 111페이지(뉴스를 보면 감정을 다스리지 못하고 맑은 정신으로 실적을 보지도 못한다) -전망이론 -감정 어림법, 위험감지이론 -소수의 법칙 -추론의 두 시스템 #비대칭 사회 #비선형 #우연의 일치 #생존편향 154페이지: 과거에 전ㄷ혀 일어나지 않았던 일.. 2023. 4. 14.
대한민국 부동산 40년(1967년부터 2007년까지) 너~무 과거 이야기여서 그런걸까?? 2007년이후 벌써 15년이나 지났다. 07년도 까지만 이야기 하는게 너무 아쉽다 요즘 시장을 2009년과 유사하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2009년 이야기가 무척 궁금했는데 그 이야기는 없다^^;; 결론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게 된 원인을 책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1) 우리나라는 경제성장률 10% 이상일때도 있었고, 이에 소득이 늘고 돈을 엄청 풀게되어 급등하는게 이상한게 아닌 시절이 있었다 2) 수도권 쏠림은 가속화되었을뿐 오히려 지방은 더욱 쪼그라 들고 있다. 행정수도 이전/지방에 공기업 이전은 아직 뚜렷한 효과를 보고있지 못하다. 3) 주택공급(건설, 임대)를 재정부담으로 인해 민간에 넘기었다. 38페이지: 경기부양의 요구가 나올 때마다 건설업.. 2023. 3. 24.
[코로나 이후, 대한민국 부동산] 예측에 기댄 투자는 위험하다 아파트 투자뿐 아니라 오피스텔, 리츠, 전원주택 투자까지도 이야기하는데 사실 나는 아파트 투자만을 투자타겟으로 하기때문에, 아파트 이 외의 부분을 술술 넘어갔다 총평: 저자는 중장기적 투자를 중요시하고, 중장기적 투자에서 입지가 점점 좋아지는 성장성을 중요시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부동산 투자에서 성장성뿐아니라 다른 다양한 요소들 (리스크, 현재 가격이 저렴한지 등)이 고려되지못하고 너무나 예측에만 기댄 성장성에만 목메는 느낌을 받았음 #1장: 새 시대, 새로운 블루칩 코로나로 인해 재택근무의 확산, 탈 서울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본 저자의 예측은 아직까지는 보기 좋게 빗나가고 있다 코로나로인한 일시적인 선택일 뿐, 다시금 원래의 자리로 돌아오고 있다 수도권 일대의 대형 아파트 단지들은 서울과의 격차.. 2023. 3. 7.
능력주의는 공정할까? 161p "저학력자들이 자신들에 대한 손가락질에 저항하는 모습은 찾을 수 없다. 반대로 그들은 그런 손가락질을 내면화하는 것처럼 봉이기도 한다. 저학력자들은 자신들의 상황이 자업자득이며 욕먹어도 싸다고 여기는 듯하다. 스스로에게도 말이다" "교육이야 말로 사회문제 해결의 만병통치약이라는 식의 권고는,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지위의 집단이 더욱 부정적으로 평가되면서 능력주의 이데올로기가 강화될 위험성을 키운다."이는 사람들이 불평등을 더 선뜻 받아들이게 하며, 성공은 능력 나름이라고 믿기 쉽도록 한다. "교육을 개인 책임이라 여기게 되면 교육 격차에 따른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비판이 줄어들 것이다." ->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공부잘하는 사람들이 지금 받고 있는 혜택에 대해 당연하게 생각한다. 하지만 나와 내.. 2021.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