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109 부룡 라이브 23.8.10_영끌하기 위험한 시기 상승장 후반, 쇠퇴기 - 투자는 해야겠고 돈은 부족하니까 내가 본능적으로 좋아하지 않았던 물건으로 넘어감(소형 - 사람들은 넓은 데 살고싶음) 돈이 없는데 무리하게 투자하고 싶은 것 - 정부가 돈줄을 쪼이면 급격히 어려워질 수 있음 1인가구 증가한다고 소형투자 좋다는거고 갔다가 붙이고 있는데, 그럼 왜 원룸, 오피스텔대신 소형아파트를 투자하는걸까? 단타투자는 이제 버려야함 - 무슨 동네에 무슨 아파트를 사도 오르는 시기가 더이상 아님 앞으로는 중기투자가 더 유리함 상반기 전국 인허가:착공 반토막 - 빠르면 2,3년에서 5년후 입주물량이 무조건 감소가 됨 -> 공급이 부족해서 전세난이 날 수 있음. 만약 그 시점이 하락기이면 어차피 집을 안사고 전세로 들어가서 전세가 오르게 됨. (전세는 오르는데 집값상승.. 2023. 8. 10. 채상욱 - FED에 관한 영상 요약 자산 인플레이션 - 기득권에게 유리. 그래서 자산인플레이션을 '주식시장 호황' '부동산시장 호황'이라는 긍정적 요소로 바뀜 물가 인플레이션 저금리로 하니까, 오히려 회사가 자사채를 매입함. (사람을 뽑고 연구, 투자는 안하구...) QE3 = 무제한 양적완화 수익률이 제로만 아니면, 모든 투자하려고 함 SEA Change - 40년간 저금리 상황이였던게, 이제는 고금리가 뉴노멀이 될 수 있음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d8niRYy2U1I&t=1037s 2023. 8. 9. 신성철님_연역론자(21년 6월 6일)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AXt43zl17c8&t=1593s 연역적 사고: 아는건 확실히 알지만, 모르는 것도 확실히 앎 택지로 입주물량이 나오려면 빨라도 5년임 구도심 재생: 4~5년이 걸림 전세가격이 떨어지면 매가 하락이 가능함 2017년 물량이 들어오지만, 첫물량만으로는 시장이 안무너짐. 보통 1년반정도 있다가 무너짐 2018년말~ 2019년 초: 하락이 길지는 않은데 하락이 나오면 이때쯤이라고 예상함 (당시는 하락이 안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었는데 틀렸음) 계단형 피리미드 효과 서울 - 일반분양물량이 적음. 10채를 지으면 조합원이 7채, 일반뿐양이 3채임 - (3채를 늘리기 위해서 7채를 뿌셔야함) 서울 순증물량이 없는 이유. 재개발/재건축을 할 수록 .. 2023. 8. 8. 금리와 부동산_신성철 21.10.05 https://youtu.be/uC7BLAl-kOI 금리가 올라가면 비용이 증가함. 그래서 수익 < 비용인 상황임 A도시의 가격 상승 기대감에 따라서, 상승 기대값이 크면 비용이 수익보다 비싸도 가격이 오름 최근 부동산 수익률 3%, 기타지금 4~5%대임 실수요장을 벗어나게 만들어서 가격하락을 이끌려면, 금리가 4~5%되어야함 현재하락이 나온다면, 시세차익은 미래를 예상하고 들어옴 현재는 기대수익률이 높은상태임.그래서 금리가 높아도, 기대수익률이 높아서 하락이 나오기 쉽지않음 전세가 상승이 깨졌을때 하락이 나오기 쉬움 과거에는 전세 대출이 없었음. 그런데 지금은 전세자금 대출이 나오면서 전세가가 금리에 영향을 받게됨 *** 공급량이 적을 때는, 금리가 올라도 전세자금 대출을 줄일 수가 없는 상황이 됨. .. 2023. 8. 8. 책 리뷰: 보수적인 투자자는 마음이 편하다_필립 피셔 64페이지: 세가지 영역에서 평균 수준, 혹은 약간 낮은 점수를 받은 기업으로서, 펀더멘털은 그리 매력적이지 않지만, 증권가에서는 이보다 더 낮거나 그 정도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는 주식이다 (중략) -> 필립 피셔는 이런 주식이 '투기의 대상'으로는 괜찮지만, 신중한 투자자에게는 적당하지 않다고 말함. 왜냐하면 요즘 처럼 변화의 속도가 빠른 세상에서는 이런 주식에 심각한 타격을 안겨줄 위험 요인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 지방 50만이하 구축에 투자한 경우(특히나 성장 가능성이 없는 도시), 1억미만 물건, 하급지의 신축 등이 아무리 펀더멘털 대비 가격이 저렴해도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사지 말하야 하는게 아니였을까? 총평: 이런 고전이 부동산책에는 없는 게 아쉽긴하다. 부동산에 어떻게 적용해야할지.. 2023. 7. 30.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2 다음